전체 글66 제연풍도가 방화구획을 통과시 고려 사항 제연풍도가 방화구획을 통과할 때는 화재 안전과 효율적인 연기 제거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방화구획은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핵심 구조물이지만, 제연풍도의 관통으로 인해 이 기능이 훼손되지 않도록 특별한 조치가 요구됩니다. 본 글에서는 제연풍도의 방화구획 통과 시 고려해야 할 규정, 설계 원칙, 유지관리 방안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1. 방화댐퍼 설치와 성능 요건제연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 방화댐퍼 설치는 가장 우선적인 고려사항입니다. 국제건축규범(IBC)과 NFPA 90A에 따르면, 2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진 벽체를 관통하는 모든 덕트에는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방화댐퍼가 필수입니다. 특히 제연설비와 공조시스템이 겸용되는 경우, EI 120(Inte.. 2025. 5. 6. 화재패턴의 생성 메커니즘과 Spalling 현상 화재패턴과 Spalling 현상은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손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화재패턴은 화염과 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물리적 흔적이며, Spalling은 고온에 노출된 콘크레트가 파편으로 튀는 현상으로 구조물 붕괴 위험을 높입니다. 본 글에서는 화재패턴 생성 원리와 Spalling 발생 메커니즘을 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그 위험성과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1. 화재패턴 생성 메커니즘화재패턴은 열유동(Heat Flux), 연소반응(Chemical Reaction), 환기조건(Ventilation)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형성됩니다. 화염 플룸(Plume)이 천장에 도달하면 열이 4방향으로 전달되며, 최대 1,100℃의 고온이 벽체와 천장에 열변형을.. 2025. 5. 6. 물분무소화설비의 적용 장소와 소화원리 물분무소화설비는 기존 스프링클러와 달리 미세한 물입자를 고압으로 분사해 화재를 진압하는 혁신적인 소방시스템입니다. 특히 수계 소화설비임에도 전기실, 문화재 저장고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며, 수손 피해 최소화와 빠른 화재 제어가 가능합니다. 본 글에서는 물분무소화설비가 주로 설치되는 핵심 적용 장소와 과학적 소화 원리를 상세히 설명합니다.1. 주요 적용 장소물분무소화설비는 화재 위험도와 공간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장소에 설치됩니다.적용 분야설치 기준대상 예시주차 시설바닥면적 200㎡ 이상 층지하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전기 설비실300㎡ 이상변전실, 통신기기실, 데이터센터위험물 저장소연면적 800㎡ 이상항공기 격납고, 석유 저장탱크문화재 시설전면 적용박물관, 도서관, 기록보존소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2025. 5. 5. 소방용 배관의 옥외 지중 매립 시공 시 고려사항 소방용 배관을 옥외 지중에 매립할 때는 동결, 부식, 하중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방지해야 합니다. 특히 지중에 매설된 배관은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철저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소방용 배관의 옥외 지중 매립 시공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동결 방지 및 적정 매립 깊이 확보옥외 지중 매립 배관은 동결로 인한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동결심도 이하로 매설해야 합니다. 동결심도(Z)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합니다:Z = C√F + 30cm (C: 지역별 상수, F: 연간동결지수)예를 들어, 연간동결지수(F)가 1,500℃·일인 지역에서 C값을 15로 적용하면 Z = 15√1500 + 30 ≈ 68cm가 됩니다. 실제 시공 시 계산된 깊.. 2025. 5. 5. 분진폭발 위험성 평가 분진폭발은 화학, 제조, 식품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중대 사고입니다. 2025년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에 따라 분진폭발지수(Kst)와 최대폭발압력(Pmax)의 정량적 평가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제표준(EN 14034)과 국내 사례를 바탕으로 Kst와 Pmax의 측정 원리와 실무 적용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1. Kst와 Pmax의 과학적 정의 및 중요성분진폭발지수(Kst)는 분진의 폭발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최대압력상승속도[(dP/dt)max]와 시험용기 부피(V)를 이용해 계산됩니다:Kst = (dP/dt)max × V1/3클래스 St 1 (Kst ≤ 200): 낮은 폭발 위험 (예: 목재분진)클래스 St 2 (200 클래스 St 3 (Kst > 300): 높은 위험 .. 2025. 5. 4. 성능위주설계(PBD) 화재시나리오 작성 2025년 서울 강남 고층건물 화재 사례 분석에서, 성능위주설계(PBD) 미적용 건물은 23분 만에 구조 붕괴가 시작된 반면 PBD 적용 건물은 72분 동안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성능위주설계는 화재 시 건물의 실제 거동을 예측하는 과학적 접근법으로, 효과적인 화재시나리오 작성이 성공의 70%를 좌우합니다. 본 글에서는 국제표준(ISO 16730, NFPA 551)과 2024년 개정된 한국소방설비기준(KFSC 2024)을 기반으로 화재시나리오 개발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3대 요소를 심층 분석합니다.1. 화재 특성의 정량적 정의: 열방출률과 성장곡선설계화재(Design Fire)의 정확한 수치화는 PBD의 출발점입니다.최대 열방출률(Qmax): ASTM E1354 기준 5MW 단위로 측정- 사무실: 8~.. 2025. 5. 3.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