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방화구획 및 방연구획의 정의, 목적, 구성요소, 효과 방화구획과 방연구획은 건축물의 화재 안전을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법령으로 엄격히 규정된 이 두 구획은 각각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방화구획과 방연구획의 정의, 목적, 구성요소,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건축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소개합니다.1. 방화구획과 방연구획의 정의 방화구획(防火區劃)은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방화문으로 건물을 구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건축법 시행령 제46조에 따라 연면적 1,0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의무 적용되며, 화재 시 1~2시간 동안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됩니다. 방연구획(防煙區劃)은 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불연재료로 마감.. 2025. 6. 17.
무창층, 피난층 및 지하층의 개념과 화재안전 대책 건축물의 무창층, 피난층 및 지하층의 개념과 화재안전 대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고층화·대형화되는 건축물에서 화재안전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무창층, 피난층, 지하층은 구조적 특성상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 위험이 높아, 각 층의 정의와 특성, 그리고 실질적인 화재안전 대책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본 글에서는 무창층, 피난층, 지하층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각 층별 화재안전 대책과 실무 적용 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무창층무창층(無窓層)이란 지상층 중 창이나 개구부의 면적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1/30 이하인 층을 말합니다. 단순히 창이 없는 층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창이나 개구부가 있더라도 소방관 진입이 어렵거나, 파괴·개방이 힘든 경우, 도로와 연결되지 않은 .. 2025. 6. 16.
내화구조 폭렬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혼합재료 선정 2025년 4월 인천 고층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는 콘크리트 폭렬 현상의 위험성을 다시금 경고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68%가 500°C 이상 노출 시 표면 폭렬을 일으키며, 이는 철근 노출로 이어져 83%의 강도 저하를 유발합니다. 본 글에서는 국제 표준(ISO 834, EN 1992-1-2)과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화성능을 극대화하는 혼합재료 선정 기준을 3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합니다.1. 폴리프로필렌(PP) 섬유의 최적화 전략직경 32µm × 길이 12mm 규격의 모노필라멘트 PP 섬유가 폭렬 방지 효율성이 입증되었습니다. 2024년 울산대 실험에서 이 규격 섬유를 1m³당 1.2kg 혼입 시, 1,200°C 노출에서도 2.4MPa 이하의 수증기압을 유지해 폭렬.. 2025. 6. 16.
터널 화재: 제연방식 선정 기준과 CFD 활용 전략 터널 화재는 인명 피해와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연기 제어가 필수적입니다. 2025년 개정된 도로터널 방재기준에 따르면, 제연방식 선택 시 CFD(전산유체역학) 모델링을 통한 과학적 검증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직배기와 횡류배기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CFD를 활용한 최적화 전략을 제시합니다.1. 제연방식 선정의 3대 핵심 기준터널 특성에 따른 최적의 제연방식 선택을 위해 다음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터널 길이: 500m 미만 단거리는 수직배기, 1km 이상 장거리는 횡류배기 우선 적용교통 패턴: 도시지역 대면통행 터널은 횡류배기, 고속도로 일방통행은 수직배기 적합화재 시나리오: 설계화재강도(20MW 기준)에 따른 열부력과 연기 확산 패턴 분석2024년 Memorial .. 2025. 6. 15.
소방펌프 공동현상(Cavitation)의 원인과 방지 대책 소방펌프에서 공동현상(Cavitation)은 펌프 효율 저하, 소음, 심각한 기계적 손상을 유발하는 주요 문제입니다. 2025년 소방시설 기준 강화에 따라 공동현상 방지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이 글에서는 유체역학적 원인 분석과 현장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1. 공동현상의 유체역학적 발생 메커니즘공동현상은 액체 내 국소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급격히 떨어질 때 발생하는 증기 기포의 생성과 붕괴 현상입니다. 소방펌프에서의 주요 발생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NPSH(Net Positive Suction Head) 부족: NPSH_available 유속 급변 구간: 임펠러 입구에서 유속 5m/s 초과 시 동압 상승으로 정압 감소온도 영향: 수온 40℃ 이상에서 포화증기압 7.38kPa로 상.. 2025. 6. 15.
정치시간(Rest Time)과 차폐(Shield)의 개념 전기적 원인 화재는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험 중 하나로, 특히 정전기 방전이나 전자파 간섭 등은 화재와 폭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적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전기 발생과 방전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방지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전기적 원인 화재 예방의 핵심 대책인 정치시간(Rest Time)과 차폐(Shield)의 개념, 그리고 실무 적용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정치시간(Rest Time)정치시간이란, 접지상태에서 정전기 발생이 종료된 후 다시 발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또는 정전기 발생이 종료된 후 접지에 의해 대전된 정전기가 빠져나갈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즉, 위험물 주입, 혼합, 이송 등 작업 후 정전기..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