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

GHS 기준과 NFPA 704의 위험물 표시 체계 비교 화학물질의 안전관리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수적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두 가지 위험물 표시 체계는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와 NFPA 704입니다. GHS는 국제연합(UN)이 주도한 화학물질 분류·표지의 세계 조화 시스템으로, 제품의 생산·운송·사용 전 과정에서 일관된 위험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 NFPA 704는 미국 방화협회(NFPA)가 개발한 ‘불의 다이아몬드’로, 주로 비상 대응 현장에서 신속하게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GHS와 NFPA 704의 표시 체계를 구성요소, 등급 체계, 실무 활용 측면에서 비교해 설명합니다.1. GHS와 NFPA 704GHS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화학물질 분류·표시 기준으로, 200.. 2025. 4. 24.
반도체 클린룸 불활성가스 소화설비 반도체 클린룸은 나노 단위 공정의 특성상 기존 소화설비로는 사용이 제한되며, 불활성가스(질소·아르곤) 시스템이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국내 Fab 사고 조사에서 불활성가스와 공정 화학물질의 예측 못한 반응이 37%의 2차 피해를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글에서는 화학적 상호작용 메커니즘과 SEMI S2/S14 기준을 반영한 실무 솔루션을 제시합니다.1. 불활성가스 소화설비의 작동 원리불활성가스 소화시스템은 산소 농도를 15% 이하로 낮춰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주로 질소(90-95%)와 아르곤(5-10%)의 혼합비율로 구성됩니다. 반도체 클린룸에서의 적용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잔류물 제로: 스프링클러 대비 장비 오염 위험 94% 감소(ISO 14644-1 기.. 2025. 4. 24.
VCE와 BLEVE, 치명적 폭발 현상의 차이 산업 현장에서 VCE(증기운 폭발)와 BLEVE(비등액체 팽창증기 폭발)는 가장 파괴적인 사고로 꼽힙니다. 2024년 유럽 화학사고 통계에 따르면, 이 두 현상이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의 43%를 차지했으며, 피해 규모도 평균 1,200억 원에 달합니다. VCE는 가스 누출 후 공기와 혼합되어 발생하는 반면, BLEVE는 고압 용기 파열로 인한 순간적 증기팽창이 원인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고 사례를 통해 두 현상의 메커니즘을 비교하고, 현장에서의 대응 전략을 제시합니다.1. 발생 메커니즘의 과학적 차이VCE는 3단계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첫째, 프로판이나 LNG 같은 가연성 가스가 대기 중으로 누출되어 구름 모양의 증기운 형성(일반적으로 5~10분 소요). 둘째,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 범위(LEL .. 2025. 4. 23.
ESS 화재 대응을 위한 소방시스템 설계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수적이지만,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thermal runaway)로 인한 화재 위험이 큰 도전 과제입니다. 2024년 국내 ESS 화재 사고 통계에 따르면, 열폭주 발생 후 3분 이내 화염 확산률이 82%에 달하며, 기존 소방시스템으로는 진압 시간이 평균 45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본 글에서는 NFPA 855(2023 개정판)과 IEC 62933-5-2 표준을 기반으로 ESS 화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소방시스템 설계의 3대 핵심 요소를 심층 분석합니다.1. 다단계 화재 억제 시스템ESS 화재는 단일 배터리 셀의 열폭주가 인접 셀로 급속히 전파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3단계 억제 전략을 적용해야 합니다:1차 냉각: 40µm 미세.. 2025. 4. 22.
전기차 충전소 화재: 소방법 핵심 변경 사항 2024년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 충전소 화재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높아졌습니다. 정부는 2025년 4월 19일자로 소방법 개정안을 발표하며 전기차 화재 대응 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화재 예방부터 진압까지 체계적인 접근을 목표로 하며, 특히 충전소 밀집 지역과 지하주차장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개정안의 핵심 3대 변경 사항을 실제 사례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세히 분석합니다.1. 습식 스프링클러 의무화 및 성능 개선개정안의 첫 번째 변경 사항은 모든 지하주차장에 습식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입니다. 기존 건물은 2026년 1월까지, 신축 건물은 즉시 적용되며 동파 우려가 있는 경우 개선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논인터락·부압식) 설치가 허.. 2025. 4. 22.
불꽃감지기의 종류 및 설치기준 불꽃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빛(자외선, 적외선 등)을 감지해 신속하게 화재를 인식하는 첨단 소방설비입니다. 특히 층고가 높거나 넓은 공간, 화재 위험성이 큰 산업 현장 등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며, 감지 원리와 설치기준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불꽃감지기의 주요 종류와 각각의 특징, 그리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치를 위한 기준을 세 가지 관점에서 상세히 안내합니다.1. 불꽃감지기 주요 종류불꽃감지기는 화염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 특성을 이용해 화재를 감지합니다. 대표적으로 자외선(UV), 적외선(IR), 그리고 이들의 복합형이 있습니다. UV 불꽃감지기는 0.09~0.38㎛의 자외선 영역을 감지하며, 연소 시 발생하는 OH, H 라디칼에서 방사되는 짧고 강한 자외선을 포착합니다. .. 2025.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