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및 밸브 설치순서

by kdsviolet77 2025. 4. 21.

 

간이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소규모 건축물에서 화재 초기 진압을 위한 핵심 소방시설입니다. 급수방식에 따라 배관 및 밸브 설치순서가 달라지며, NFSC 103A(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기준)에서 엄격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상수도직결형, 펌프가압형, 캐비닛형 등 주요 급수방식별 설치요건을 세부적으로 분석합니다.

1. 상수도직결형 설치순서와 구성요소

수도계량기 → 급수차단장치 → 개폐표시형밸브 → 체크밸브 → 압력계 → 유수검지장치 → 시험밸브(2개) 순으로 설치합니다. 급수차단장치는 화재 시 일반 급수배관을 차단해 소화용수 집중을 보장하며, 체크밸브는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압력계는 체크밸브 후단에 위치해 실제 공급압력을 측정하며, 유수검지장치는 압력스위치 방식으로 최소 50ℓ/min 유량 감지 시 자동경보를 발령합니다. 시험밸브는 2개 설치해 기준개수(2개)의 헤드 동시개방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2. 펌프/가압수조형 시스템 구성방식

수원 → 연성계(真空계) → 펌프/가압수조 → 압력계 → 체크밸브 → 성능시험배관 → 개폐표시형밸브 → 유수검지장치 → 시험밸브 순입니다. 연성계는 펌프 흡입측 배관의 진공압력 모니터링을 위해 설치하며, 성능시험배관은 펌프 가동 시 유량·압력 검증용으로 직경 25mm 이상 규격을 적용합니다. 가압수조 방식은 에어컴프레서로 물에 공기압력을 가해 작동하며, 2차측 압력계를 추가 설치해 저장압력을 이중으로 확인합니다.

3. 캐비닛형 패키지 시스템 특수조건

수원 → 연성계 → 펌프/압력수조 → 압력계 → 체크밸브 → 개폐표시형밸브 → 시험밸브(2개) 순으로 설치합니다. 캐비닛 내부에 12V 축전지 2개를 병렬연결해 DC24V 비상전원을 구성하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수도와 직결된 급수라인을 확보합니다. 밸브류는 전용 마운트 브라켓에 고정해 진동에 의한 이완을 방지하며, 유지관리 접근성을 위해 전면 패널 개방각도 120° 이상을 준수합니다.

결론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성능은 급수방식별 배관구성 정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상수도직결형은 압력변동 대응, 펌프가압형은 유량안정성, 캐비닛형은 공간효율성을 각각 강화해야 합니다. 2024년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설치순서 오류가 화재시 미작동 사고의 63%를 차지하므로, 시공 시 NFSC 103A 기준의 철저한 이행이 필수적입니다.